글꼴 연결에 관해

제한적이긴 하지만 윈도우 계열에서는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서 각 언어별로 글꼴을 연결할 수가 있는데,
우분투에서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한글은 나눔고딕, 영문은 Dejavu Sans, 일본어는 Meiryo, 한자는 MS Yahei로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나요?

[code:17pl2ift] <match target="pattern" >
<test name="family" >
<string>NanumGothic</string>
</test>
<edit binding="strong" mode="append" name="family" >
<string>Dejavu Sans</string>
<string>NanumGothic</string>
</edit>
</match>[/code:17pl2ift]

~/.fonts.conf를 위와 같이 매칭하면 영문과 한글은 매칭이 되는데, 일본어나 한자는 아무리 해도 도통 연결이 안되네요. 폰트 에디터로 물리적으로 합치는 외에는 방법이 없을까요?

모양새에서는 Sans로 그냥 두고 69 파일을 수정 해보십시오

viewtopic.php?f=9&t=7858

[quote="강분도":ptx77v6c]모양새에서는 Sans로 그냥 두고 69 파일을 수정 해보십시오

viewtopic.php?f=9&t=7858[/quote:ptx77v6c]

영문과 한글은 잘 되는데 일본어나 한자는 잘 안되네요.
보통 cjk라고 하니까 한자, 일본어, 한글 순인가 했지만 그것도 아닌 듯 하더군요.
결국은 폰트를 합치는 것 외에는 discrete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봐요.

[quote="koolmint":1adbk2vv]제한적이긴 하지만 윈도우 계열에서는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서 각 언어별로 글꼴을 연결할 수가 있는데,
우분투에서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한글은 나눔고딕, 영문은 Dejavu Sans, 일본어는 Meiryo, 한자는 MS Yahei로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나요?

[code:1adbk2vv] <match target="pattern" >
<test name="family" >
<string>NanumGothic</string>
</test>
<edit binding="strong" mode="append" name="family" >
<string>Dejavu Sans</string>
<string>NanumGothic</string>
</edit>
</match>[/code:1adbk2vv]

~/.fonts.conf를 위와 같이 매칭하면 영문과 한글은 매칭이 되는데, 일본어나 한자는 아무리 해도 도통 연결이 안되네요. 폰트 에디터로 물리적으로 합치는 외에는 방법이 없을까요?[/quote:1adbk2vv]
위의 코드로 봐선 일본어나 한자는 적용을 시키지 않으셨네요?

저의 경우는

[code:1adbk2vv]<fontconfig>

<!-- Set preferred Korean fonts –>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LexiGulim</string>
<string>Microsoft YaHei</string>
<string>Microsoft JhengHei</string>
<string>Meiryo</string>
</edit>
</match>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ans-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LexiGulim</string>
<string>Microsoft YaHei</string>
<string>Microsoft JhengHei</string>
<string>Meiryo</string>
</edit>
</match>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monospace</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Terminus</string>
<string>LexiGulim</string>
</edit>
</match>

</fontconfig>[/code:1adbk2vv]
이런식으로 쓰고 있습니다.

제가 질문을 제대로 이해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한 페이지 내에서 모든 글꼴이 적용되길 바라시는지, 아님 각각의 언어로 된 페이지에서 각각의 글꼴이 적용되길 바라시는 건지 질문이 명확하지가 않네요.)

[quote:2jg6s5al]
위의 코드로 봐선 일본어나 한자는 적용을 시키지 않으셨네요?

저의 경우는

[code:2jg6s5al]<fontconfig>

<!-- Set preferred Korean fonts –>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LexiGulim</string>
<string>Microsoft YaHei</string>
<string>Microsoft JhengHei</string>
<string>Meiryo</string>
</edit>
</match>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ans-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LexiGulim</string>
<string>Microsoft YaHei</string>
<string>Microsoft JhengHei</string>
<string>Meiryo</string>
</edit>
</match>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monospace</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Terminus</string>
<string>LexiGulim</string>
</edit>
</match>

</fontconfig>[/code:2jg6s5al]
이런식으로 쓰고 있습니다.

제가 질문을 제대로 이해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한 페이지 내에서 모든 글꼴이 적용되길 바라시는지, 아님 각각의 언어로 된 페이지에서 각각의 글꼴이 적용되길 바라시는 건지 질문이 명확하지가 않네요.)[/quote:2jg6s5al]

제 질문을 정확히 이해하시고 계신 듯 합니다. 단지 첨부해 주신 코드가 좀 이해가 안되는데요…

[code:2jg6s5al] <match target="pattern">
<test qual="any" name="family">
<string>sans-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mode="prepend" binding="strong">
<string>LexiGulim</string>
<string>Microsoft YaHei</string>
<string>Microsoft JhengHei</string>
<string>Meiryo</string>
</edit>
</match>[/code:2jg6s5al]

sans serif에 렉시굴림, Yahei, Jhenghei, Meiryo 순으로 바인딩을 하셨는데, 이경우
영어, 한글, 한자, 일본어가 각각 명료하게 연결이 안되지 않나요?
설정대로면 한글은 렉시굴림으로, 한자는 Yahei, 차순으로 Jhenghei, 일본어는 Meiryo로 표시가 되어야 하는데

1
2
3

순으로 바인딩이 되면 1번에 없는 글꼴을 2에서 찾고, 2에도 없으면 3에서 찾고 이런 순으로 된다고 알고 있는데요.
가령 윈도우의 굴림 폰트 같은 경우는 영어, 한글, 한자, 일본어 까지 모두 있기 때문에 굴림을 맨 위에 두면 아래 무엇을 두던 굴림 글꼴로 표현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제가 먼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이라면 지적해 주세요.

[quote="koolmint":3vmq7pnh]
sans serif에 렉시굴림, Yahei, Jhenghei, Meiryo 순으로 바인딩을 하셨는데, 이경우
영어, 한글, 한자, 일본어가 각각 명료하게 연결이 안되지 않나요?
설정대로면 한글은 렉시굴림으로, 한자는 Yahei, 차순으로 Jhenghei, 일본어는 Meiryo로 표시가 되어야 하는데

1
2
3

순으로 바인딩이 되면 1번에 없는 글꼴을 2에서 찾고, 2에도 없으면 3에서 찾고 이런 순으로 된다고 알고 있는데요.
가령 윈도우의 굴림 폰트 같은 경우는 영어, 한글, 한자, 일본어 까지 모두 있기 때문에 굴림을 맨 위에 두면 아래 무엇을 두던 굴림 글꼴로 표현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제가 먼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이라면 지적해 주세요.[/quote:3vmq7pnh]
아! 그러고 보니 쿨민트님 말씀이 맞습니다.
제가 위에 링크된 [url=http&#58;//ubuntu&#46;or&#46;kr/viewtopic&#46;php?f=9&amp;t=7858:3vmq7pnh]영문글꼴에 원하는 한글글꼴 가따 붙이기!![/url:3vmq7pnh] 를 보다가 스스로 혼돈을 일으킨 것 같습니다.

제가 Ubuntu를 시작 할 때 부터 저 설정대로 사용한 데다, 영어의 경우 렉시굴림이 표현해 주고, 한글 페이지에 한자나 일본어가 같이 표현된 경우가 많지 않아 눈여겨 보지 않은 때문인 것도 같네요.

제 경우 저 설정대로 아무 문제 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제 경우 ~/.fonts.conf 가 아니라 /etc/fonts/conf.avail/69-language-selector-ko-kr.conf 를 위와 같이 편집해서 쓰고 있습니다.

~/.fonts.conf를 편집하셨다는 것도 이제 보이네요.
제가 뭔가에 홀린 듯 합니다.

진중하지 못한 태도를 보여 죄송합니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