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첫 경험 알짜 리눅스.

지금으로부터 12년전 고등학교 시절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잡지에 리눅스 열풍이라는 소개와 함께

알짜 리눅스 CD2장이 부록으로 들어있었던 걸로 어렴풋이 기억이 납니다.

그때 리처드스톨만이 피리들고 서버 앞에서 폼 잡았던 사진이 아직도 생생하군요.

그 멋에 이끌려 리눅스를 설치해보겠다는 마음으로 설치 메뉴얼을 훑어보자니 너무 복잡해 보여서

포기할까 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일단 설치만 해보자는 마음으로 책을 훑어보기 시작했습니다.

메뉴얼에 윈도우 95를 지우고 파티션을 없애야 된다는 말이 처음엔 이해가 되질 않았습니다.

파티션을 지우면 어떻게 하드에 데이터를 집어넣지? 라는 의문점을 뒤로한채 일단 아무것도 모르니

도스상태에서 파티션을 없애고 알짜 리눅스를 시디에 넣고 부팅한결과 도스 비스무리 한게 뜨더군요

지금처럼 GUI가 아니였습니다.

일단 커맨드 입력이 뜨자 Dos fdisk 와는 차원이 다른 fdisk가 있다는걸 처음 알았습니다.

그때 메뉴얼에서는 /boot /home /root /swap 파티션을 일일이 용량 계산하면서 다 잡아주어야

리눅스가 깔리는줄 알고 써있는대로 커맨드 입력하면서 다 잡아주었습니다.

왜 그렇게 일일이 잡아주어야 하는지 그땐 전혀 몰랐습니다.

파티션 잡는거에 성공을 하자 본격적으로 리눅스를 설치하기 위해서 인스톨 화면에 접하게 되면서

시디만 넣으면 다 알아서 해주는 윈도우 방식이란 너무 차원이 틀려 벽에 부딪쳤습니다.

하드웨어 잡는것부터 어려웠었는데 내가 가지고 있는 제품의 회사를 다 일일이 메모지에 체크해 놓고

자신에 맞는 하드웨어 목록이 나왔을때 정적으로 체크해 두면 성능향상에 도움이 된다구 해서

다이아몬드(정적)를 체크하자 다음 단계인 어플설치 목록이 나오더군요.

도데체 이 어플이 뭔 역활을 하는 어플인지 알수가 없어서 모조리 싹다 체크하고 마지막 단계인

시간/지역, 로그인/암호를 설정하라구 하더군요.

시간은 둘째 치더라도 로그인명과 암호는 왜 만들어놔야 하는지 도통 이해를 하지 못했지만

군대에서 까라면 까야하듯이 일단 시키는대로 설정하고 마지막 리부팅 한다는 글자가 보이자

안도에 한숨을 쉬면서 새로운 운영체제에 대한 환상에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모니터를 다시 바라보자 역시 해커가 주로 쓴다는 운영체제는 부팅때 부터 뽀대나보이는

텍스트 글자가 한 30초 가량 뜨더니 윈도우즈와 같은 환경이 나올줄 알았지만 도스와 비슷한

상태로 화면에 출력되자 다시한번 메뉴얼을 살펴보니 명령어(StartX)를 입력해야 X-윈도우로 접할수 있다고 하여

재빠르게 타자를 두드리며 엔터를 누르자 몇 십초 화면이 깜빡 거리더니 마우스 포인터가 그제서야 보이기 시작하더군요.

환상의 운영체제가 나올줄 알았지만 왠 조선시대 윈도우 박스 하나 덜그라니 하나 떠있구 아주 초라한 화면에 이게 내가 원하는

멋진 운영체제가 아닐텐데 하면서 다시 한번 윈도우를 살펴보자 왼쪽 하단에 어플리케이션 콤보박스가

보이자 일단 어플을 실행해 볼까 하는 심정에 영어로 써있는 Gimp라는 프로그램을 클릭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초가지붕위에 기왓장을 뒤집어 씌어놨는지 초라하기 그지없어서 일단 종료하고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보니 에러는 뭐 이렇게 많이 뜨는지 이리충돌 저리충돌 폭탄모양의 이미지와 함께 어플이 계속 죽는 현상이

발생하더군요.

열받은 심정으로 파워를 끄고 리눅스는 당분간 봉인하겠다는 마음으로 굳게 다지며

그렇게 리눅스에 대한 첫 경험은 이루어졌습니다.

그때를 돌이켜보면 지금의 리눅스는 믿기지 않을정도로 좋아지고 편리해졌다고 생각합니다.

설치부터 초 난관 이였던 리눅스 지금은 정말 시디만 넣으면 지가 알아서 다 설치해주니 말 입니다.

그래도 그때는 아주많이 편하게 쓰신 겁니다.
옛날에 씨디롬으로도 안나왔을 때는 디스켓 23장 들고 용산으로 가서 복사해갖고 오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 중에 하나라도 뻑나면 돌아버릴 때가 있었죠.
알짜리눅스는 레드햇이었으니 rpm이라는 패키지 매니저도 있었고 설치도 여러모로 편했구요.

[quote="jswlinux":ic25vjo0]그래도 그때는 아주많이 편하게 쓰신 겁니다.
옛날에 씨디롬으로도 안나왔을 때는 디스켓 23장 들고 용산으로 가서 복사해갖고 오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 중에 하나라도 뻑나면 돌아버릴 때가 있었죠.
알짜리눅스는 레드햇이었으니 rpm이라는 패키지 매니저도 있었고 설치도 여러모로 편했구요.[/quote:ic25vjo0]

알짜리눅스 패키지 관리 방식이 rpm 이였군요. 그땐 몰랐습니다. ㅋ

CentOS에서 rpm 써보고 참 편리하다구 생각했었는데

데비안 계열을 접하게 되니 rpm은 이제 역사속으로 사라질때가 오지 않았나 생각 합니다.

RHEL 살아있는한 힘들겠죠?

알짜리눅스…상당히 오랜만에 들어봅니다.

제가 리눅스를 접한 첫 이름은 슬랙웨어였습니다. 책과 패키지 씨디만 구입한 채 설치는 하지않고 방치하였던 이름 --;
물론 처음 사용했던 것은 학교 웍실에 있던 현대에서 나온 스팍모델이었는데
제 놋북에 첫 설치는 레드햇…

참 많이도 변했지요 ^^

그래도 x-window 진입은 성공하셨네요.
저는 일주일을 힘들게 세팅해서 x-window를 실행했더니
x자형 마우스포인터 하나만 등장…
결국 다시 윈도우를 깔았던 기억이^^

전 슬랙웨어로 처음 시작을 했었는데…
한동안 미쳐서 열심히 팠었지요.
FVWM까지 얹어서 이것저것 해보다가…
게임에 빠져버려서 다시 Win95와 DOS로 복귀…

지금 다시 우분투를 사용하면서
wine과 VBox, VMware가 너무 좋아져서
이젠 대형 MMO가 아닌 왠만한 게임들을 리눅스에서 즐길 수 있게 된 것이 너무 좋습니다.

[quote="hid276":3p8fe38l]군대에서 까라면 까야하듯이 [/quote:3p8fe38l]

군대에서 까야 할게 뭘까요?? 민증?? 아님 바지? 이흥∼ 8-)

저도 이것으로 처음 리눅스를 설치하고 빠졌던 기억이 나네요.

정든 친구를 만난 느낌이라 글 달아봅니다. ^^

알짜리눅스가 처음에는 슬랙웨어를 기반으로 했던 것 같습니다.
나중에 레드햇 기반으로 변경됐던 기억이…(확실하지는 않습니다)

간만에 들어보는군요… 알짜~~~

플로피 디스켓 하니까 OS/2가 생각나는군요.
운영체제 설치하려면 디스켓을 열심히 갈아 끼워야 했죠.

옛날에는 목적도 없이… 열정만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지금은… ㅡ,.ㅡ;;

[알짜 리눅스] 꽤 많은 사람들이 접했던 리눅스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유닉스가 뭐고 리눅스가 뭐고를 떠나
세상의 운영체제는 MS-dos와 MS-windows만 존재하는줄 알았습니다.

제 경우는 리눅스는,
저예산 서버환경을 이해하고 싶었기에 시작했었습니다.
레드햇과 맨드레이크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왜 그렇게 해야되고,왜 그렇게 구동되는지
개념조차 잡지 못했던 시작이었기에
기대감반,실망감반 하면서 사용했던 기억이 납니다.

솔직히 사용이라기 보단 설치와 포맷의 반복적인 삽질만 계속되었지요.

책을 보고 그대로 따라해도
상상속에서만 존재하는 아득히 먼 저편의 화면은 절대 나오지 않거나
도대체 해석할수 없는 오류를 뿜어대기 일쑤였습니다.

작은 부분을 변경하기위해 앞,뒤로 생각해줘야하는 부분들이 꽤 많았던 걸 기억합니다.
저에게는 너무 불편하고 어려웠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윈도우즈 서버군(NT)를 접했습니다.
옳다구나 전향했지만,
제 자신이 "생각은 조금도 하지 않고,너무 편한것만 추구"하다보니,
진짜 중요한것들을 모르고 지나가버려 아쉬웠습니다.

아웃풋도 윈도우 기반의 것들만 선호하게되었으니까요.

나중에서야 문제가 터졌을때 해결점을 찾기위해
고민하고, 자문을 구하고 또 고민하고…

그럴때 쯔음 다시 새로운 윈도우 버전이 출시되면…
고민은 잊고,
다시 그 차기 윈도우 라인을 따라가야하고…

지금 돌아보면,
저에게는 "단계를 밟지 못한 진행이 부른 화근" 이었다고 생각이 되네요.

그러다 "안녕 리눅스"를 접했습니다.
굴러다니는 부품으로 다시 리눅스를 시작했습니다.
명령어로 시작해 명령어로 끝나는 …
꽤 심심한 운영체제였지만,
착실히 하라는 것만 하는 영리한 녀석이었습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역시 쉽지 않았고, 또 어려웠습니다.
생각과 습관을 전향하는것이 쉽지 않았고,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이런 저런 사람들에게 자문을 구하고,고민하고…
늦은 나이에 배우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부끄럽지만,
지인에게 언제가 이런 불평섞인 질문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리눅스는 하나 하나 다 설정해 줘야하고,
단계적으로 생각할것이 너무 많네요."

그러자
웃으면서 해주시는 말씀이.

"그래야 문제가 터졌을때, 그 부분에 대해
책임을 질수 있고, 해결점을 찾을수 있다고 생각되요"

라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어렵게만 가는것이 절대 답은 아닐지라도,
최소한 그것들을 왜 그렇게 설정해야하는지를 알려준 "고마운 기회" 였습니다.

그러다 2006~7년 경이었나요.
신청하면 리눅스 운영체제 CD를 무료로 준다기에 솔깃해
[[b:y9omvqv4]어떤 배포판[/b:y9omvqv4]] 을 접했습니다.

역시 윈도우 환경에 익숙해 있던 저에겐 쉽지 않은 접근이었습니다.
[[b:y9omvqv4]그 어떤 배포판 리눅스[/b:y9omvqv4]]에서 랜카드가 잡히지 않아 "젠장"을 외쳤고,
다른 리눅스에선 이렇게 했는데 [[b:y9omvqv4]그 어떤 배포판 리눅스[/b:y9omvqv4]]에선 요렇게 해야하는게
불만이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b:y9omvqv4]그 어떤 배포판 리눅스[/b:y9omvqv4]]의 8.04 LTS Hardy Heron (강한 왜가리)를 접했을땐…
[충격] 이었습니다.

그땐 이랬는데… 이게 이렇게 발전하다니 라는 탄성을 자아내며 꼭두새벽에 소리를 질렀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b:y9omvqv4]그 어떤 배포판 리눅스[/b:y9omvqv4]]의 의미를 찾아봤습니다.

언젠가 위키백과에도 등록이 되었더군요.

우분투(Ubuntu)는 반투어 낱말로,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 ‘[b:y9omvqv4][color=#4000FF:y9omvqv4]네가 있으니 내가 있다[/color:y9omvqv4][/b:y9omvqv4]’
* ‘[b:y9omvqv4][color=#FF0000:y9omvqv4]타인을 향한 인간애[/color:y9omvqv4][/b:y9omvqv4]’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C%9A%B0% … 4%ED%88%AC

그냥 읽어봐도 좋은 의미이고, 정감이 갑니다.

시작은 비록 많이 부족했을 지언정.
리눅스는 여기까지 진보했고, 또 앞으로 더 진보 할꺼라 믿습니다.

현재는 집과 사무실에서 모두 리눅스를 사용합니다.
윈도우와 비교해보면 개발툴이나 환경이
조금씩은 다르고, 투박해도…
딱히 찝어서 말하기는 힘들지만,
[[b:y9omvqv4]리눅스만의 매력[/b:y9omvqv4]]을 느낍니다.

가끔 [대한민국 전자결재] 때문에 가상머신에서 윈도우를 부팅하면,
어느 회원분이 게시해준 글처럼 "[b:y9omvqv4]패배감[/b:y9omvqv4]"을
맛볼때도 종종 있답니다 ;D

하지만…

조금은 바뀔꺼라는 기대를 가지고,

'더 낳은 내일’의 '오늘’을 기약해 봅니다.

[quote="kusanaki":3be9ircd]-----
우분투(Ubuntu)는 반투어 낱말로,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 ‘네가 있으니 내가 있다’
  • ‘타인을 향한 인간애’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C%9A%B0% … 4%ED%88%AC
-----[/quote:3be9ircd]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이러한 우분투의 철학(?)은 단군왕검의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라라는 홍익인간의 정신에도 부합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결론적으로 우분투는 한국인에게 적합한 배포판?? :D

저도 오래 전에 알짜리눅스 설치했던 기억이.
요즘은 리눅스도 정말 편해졌어도.
그런데 아직도
리눅스는 어려워
라고 생각하는 분이 많다는 게 아쉽네요 :slight_smile:

오래전에 알짜 리눅스 책 (이만용 지음) 을 빌려보았어요.
그리고 책안에 CD로 리눅스 설치를 시도했으나 X-Window 띄우기에 실패했던걸로 기억합니다. 두번째였어요.

첫 리눅스 설치시도는 아델리눅스였던걸로 기억합니다. 아델리눅스도 X-Window 실패…

세번째는 X-Window 띄우기 성공했어요. 레드햇 6.2 였습니다. 우리나라는 참세번~^^^

[크롬북에서 적었어요]

이만용 님은 지금은 어찌 지내시나 궁금하네요.
저도 이만용 님이 지은 책 보며 리눅스 설치했지요.
부팅은 플로피디스크로, 그 다음에는 CD를 이용한 설치. 그 당시 제 컴이 CD 부팅을 지원하지 않아서리…
파티션 나누는 것 부터 헤매기 시작하여 수차례의 시행 착오. 어렵게 X Window 띄우기 성공.
어렵게 성공했을 때의 그 기쁨은…
기본으로는 사운드 카드 인식이 안 되어서, 사운드 카드 설정하려고 커널 컴파일까지 했던 기억이.
그때는 컴퓨터도 느려서 뭐 하나 하려면 시간도 오래 오래 걸렸는데…
지금은 참 좋은 세상이지요 :slight_sm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