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메모리의 자료 동기화

USB메모리를 사용하다 보면 자료 동기화가 자주 필요하게 됩니다.

컴의 하드에서만 (혹은 USB내에서만) 작업을 하고 자료가 변경되었다면 한쪽 방향 동기화가 필요하고…
한쪽 방향 동기화는 Grsync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편리하더군요.
[Grsync는 우분투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Grsync은 양쪽 방향 동기화를 지원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하드에서도 작업하고 USB내에서도 작업을 하였다면 양쪽 다 최근에 작업한 파일들로 유지하고 싶을텐데…
이때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Synkron ([url:3luahj9g]http://synkron.sourceforge.net[/url:3luahj9g]) 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됩니다.
속도도 매우 빠르고 여러가지 편리한 옵션들이 제공됩니다.
[요건 deb 패키지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홈페이지에 있는 rpm 바이너리 패키지를 풀어 보았더니 단일 실행 파일이더군요.
그래서 그 실행파일(과 아이콘)만 ~/bin 디렉토리에 복사하여 사용 중입니다. 단, libqt-core와 libqt-gui가 깔려있어야 실행됩니다.]

[attachment=0:3luahj9g]Synkron.png[/attachment:3luahj9g]

– 양쪽 방향 동기화 프로그램으로 unison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우분투 패키지에도 있고요.
하지만 이건 파일의 퍼미션과 owner 까지 체크를 해서 서버나 리눅스 컴내에서 동기화할 때 필요한 프로그램이고…
USB메모리를 동기화할 때는 적합하지 않더군요.

– 다른 분들은 USB메모리의 자료 동기화를 어떻게 하고 계시는지…?
그리고 다른 동기화 프로그램(USB메모리 동기화에 적합한 그리고 양측 방향 동기화가 가능한)이 있다면 소개를… 부탁드려요.

방금 전에 깔아봤는데 괜찮은거 같네요
그리고 패키지는 소스 포지에 rpm파일을 제가 alien으로 해서 deb 패키지로 변환 시켰습니다.
필요 하신 분은 그냥 이거 받아서 까셔도 됩니다.
QT4 기반이라 그런지 꽤 화면 구성이 꽤 이쁜거 같습니다.
소개 해주신거 잘 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제가 찾던 프로그램입니다.

MS 윈도우에서 allwaysync를 사용하고 있는데 역시 리눅스용 프로그램도 있었군요 !
이제부터 우분투로 모든 일을 해 볼까 합니다. (잘 될까 ???)

버전 1.5로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1.4에서는 변화없는 파일도 일부 다시 동기화하는 버그가 있었던 것 같은데… 그 버그가 수정되었네요.
1.4 쓰던 분이라면 1.5로 업그레이드 하세용~.

제가 원하던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있었군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D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quote="푸른바람":26pl5vye]버전 1.5로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quote:26pl5vye]제가 rpm을 deb로 conversion 하였습니다. (alien 이용)

1.6.2버전 컴파일해서 올립니다.

이거 문제가 있네요.
많은 파일들을 동기화시킬떄 중간중간 프로그램이 멈추고, CPU 점유율이 치솟네요.
한쪽에 베드섹터가 생겨 파일 동기화에 문제가 생기면 동기화시키는 쪽(원본쪽)의 파일을 지워버리네요.
ㅜㅜ 제 소중한 파일을 날려먹었습니다.
그리고 특정 문자열을 넣을경우 블랙리스트에 넣어도 구분하지 않기도 하네요.

아무래도… 중요한 자료의 동기화에는 가급적 쓰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아… 빌어먹을.
이거 아예 쓰지 마세요. 쓰시면 자료 날라갑니다.
아 ㅜㅜ 찍어뒀던 사진들이 전부 사라져버렸네요.
정말 할 말이 안나옵니다. ㅜㅜ

grsync라면 이름으로 보아도 rsync gtk프론트엔드 같은데요.
rsync는 안정적인 프로그램이고, 그것의 프론트엔드라 별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사용상의 문제가 아닐런지요.

[quote="protochaos":zm4vnzh5]grsync라면 이름으로 보아도 rsync gtk프론트엔드 같은데요.
rsync는 안정적인 프로그램이고, 그것의 프론트엔드라 별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사용상의 문제가 아닐런지요.[/quote:zm4vnzh5]
'grsync’이 아니라 'Synkron’입니다…
한번이 아니라 여러번이고, 한번은 모두 합쳐 수십기가바이트의 파일이 차례차례 삭제되는 충격적인 현장을 목격하기도 했습니다. 충돌방지와 원본유지에 체크를 해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어난, 참사였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Windows, Ubuntu에서 FreeFileSync를 사용 중입니다.

동기화 전에 리스트업을 먼저 해주고 수동으로 동기화할 방향을 파일별로 설정할 수 있어서 애용 중입니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freefilesync/

위의 사이트에서 리눅스버전도 실행가능한 바이너리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동기화 시에 의도치않게 덮어쓰거나 하는 문제들은 Sync작업 전에 리스트로 확인할 수 있어서 그 때문에 애용 중입니다;;
(자동은 언제나 예키치 않는 문제를 불러오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수동애용…ㅋ)

저는 자료 백업 때문에…
rsync 를 crontab에 넣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code:2kmdkkx5]
0 0 * * * rsync -av --delete /home/cogniti/.fonts /home/cogniti/Desktop /home/cogniti/Documents /home/cogniti/NPKI /home/cogniti/Pictures /home/cogniti/projects /mnt/rsync[/code:2kmdkkx5]

그런데 sync가 안 되어 있는 상태에서 USB를 뽑으면 buffer에 있는 데이터가 증발해버립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etc/fstab 에서 [b:2kmdkkx5]sync[/b:2kmdkkx5] 옵션을 추가해줍니다.
기록 요청이 있을 시 바로바로 기록하게 됩니다.

[code:2kmdkkx5]UUID=60426f00-52b4-49eb-b9e4-902c8fcacc64 /mnt/rsync ext4 sync,noatime 0 2[/code:2kmdkkx5]
아마 다른 분들의 fstab에는
UUID 부분이 /dev/sdb1
마운트 부분이 /media/usb
이렇게 되어 있을 것 같은데…
그 부분은 그냥 놔두고 4번째 컬럼(options)에 [b:2kmdkkx5]sync[/b:2kmdkkx5] 만 추가해주면 됩니다.

저는 synkron 안써봐서 원인이 무었인지 모르겠습니다.
많은 동기화 무른 모’중에서 저는 synchrorep 썼는데, 좋고 문제 없었습니다.
연결고리는 http://www.iceberg-linux.net/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