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usb에 우분투 설치하기라는 글을 여러번 봤습니다. 어떤경우에 이용하는 건가요?

제가 초보라 그런지 이해가 안가는 것이있습니다. USB에 우분투를 설치하는 글을 여러번 보게댔습니다.

그런데 어떤 상황의 유저들에게 도움이 대는것인지 감이안와서그렇습니다.

알기쉽게 풀어서 알려주시수 있나요?

해결 P.S : 정말 다재 다능한 운영체제군요. 친절히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지금 1주일째 우분투로만 컴퓨터를 사용하고있습니다
평소와 가장틀린점은…ㅋㅋ;;; 게임하는 시간이 줄었습니다.ㅎㅎㅎ;;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들고 다닌다고 생각하시면 쉽겠네요.

피씨방 가서 USB꼽고 부팅하면…

집에서 컴퓨터 켤때와 똑같은 환경을 유지 할수있죠

하드웨어는 피씨방에 있는거 쓰지만…

소프트웨어적인 운영체제나 프로그램은… 집과 같은… 상태…

보안상도 더 안전하겠죠…

컴퓨터를 쓰고 나서도 그 컴퓨터에 흔적도 안남을테니깐요

시디롬도 네트웍도 안되는 노트북 쓰는데도 도움이 되겠네요 ^.^

피시방에 카드 들고가서 카드번호 입력해서
시간 체크 하던데
usb 부팅하면 그건 못하는거 맞죠?
그럼 나갈 때는 어찌해야…

[quote="느림보":2rd11ukb]피시방에 카드 들고가서 카드번호 입력해서
시간 체크 하던데
usb 부팅하면 그건 못하는거 맞죠?
그럼 나갈 때는 어찌해야…[/quote:2rd11ukb]

헉 진짜 겠네요… 그럼 돈안내고 그냥… 가나…

피시방 플겜의 정확한 장동원인을 모르지만… 왠지 그럴것도 같은… :shock:

  1. 저 같은 경우는 CD가 에러가 나서리 USB로 설치 했습니다. CD가 SATA 방식 이라서 그런지 여하튼 상당히 오랫동안 I/O error 메세지를 뿌리더군요. 구글에 이 에러 메세지(구체적인 에러 메세지 내용은 기억 안남)를 검색해 보니 제법 요것 때문에 고생들 하더라고요. 영어로 된 것 일일이 읽기도 귀찮아서 그냥 USB로 만들어 설치 했습니다.

  2. 요새 CD, floppy없는 미니컴터도 나오더군요. 이럴때는 USB가 대안이 되겠네요. '다이나시스’에서 요런 컴터 저렴하게 판매하더군요. 조용하고 깜직해고 저렴해서 탐나더군요.

-앗 실수다. 아예 USB에 설치하는 문제다!
죄송… 난 설치 media를 USB를 이용하는 이유가 뭘까? 하는 문제인줄 알고…

SD카드처럼 하드웨어 차원에서 쓰기 금지 모드에 들어갈 수 있는 장치라면 그야말로 대박입니다.

그건 그렇고 그게 -

  • VMware를 통한 설치를 제외한 성공 사례를 들어본 적이 없어서 좀 안습입니다. 제 경우 얼마 전 QEMU로 SD카드 마운트해서 아치 리눅스 깔고 실제 시스템으로 부팅해 봤습니다만 커널 파일을 못 찾아서 ramfs로 빠지더군요.(쓴웃음) 그냥 실제 시스템에서 설치하면 또 어떨지는 저도 모르겠고.

[quote="느림보":3gb3zpsb]피시방에 카드 들고가서 카드번호 입력해서
시간 체크 하던데 [/quote:3gb3zpsb]
맞습니다. 거의 모든 프로그램들은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부팅이 되지 아니하면 동작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하시면 양심 유지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ㅎ

  1. 부팅해서 카드 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를 꼽아 인식시킨다.
  2. 재부팅 후 usb 로 부팅한다.
  3. 나갈때 카드로 계산한다.

바이오스 설정에 접근을 못하도록 막은 곳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집컴퓨터기준으로 만들어진 usb를 다른컴퓨터에 옮겨다니면서 사용하면 하드웨어와 관련된 충돌

은 업나요?

윈도우는 하드띠어서 다름컴퓨터에 부치면 유사 하드웨어가아니면 충돌이 나던데…

어떻게 되나요 이런부분은?

전 VMware 로 설치했는데요.
VMWare 문서에 보면, 호스트컴의 CPU가 바뀌었을 경우, 즉, AMD->Intel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는 게스트OS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것이란 내용이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VMWare로 USB에 설치한 OS는 같은 계열 CPU에서만 동작을 한단 얘긴데요.
그런데, 제가 AMD 에서 설치한 USB를 인텔기반 컴퓨터에서 실행(부팅)했는데, 아무 이상없이 잘 실행되었습니다.
오래 써본 것은 아니고 한 10여분 정도 사용한 것이긴 하지만요.

정확한 이론이나 논리는 모르겠지만, 다른 컴퓨터에서 부팅해도 되긴 되는 것 같습니다.
또, 부팅이 되고 난 뒤 이전 환경과 다른 하드웨어는 우분투(USB에 설치된)가 알아서 찾아줍니다.
네트웍 설정만 잘 맞춰주면, 다른 컴에서도 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quote="ibis":21ldlbvk]집컴퓨터기준으로 만들어진 usb를 다른컴퓨터에 옮겨다니면서 사용하면 하드웨어와 관련된 충돌

은 업나요?

윈도우는 하드띠어서 다름컴퓨터에 부치면 유사 하드웨어가아니면 충돌이 나던데…

어떻게 되나요 이런부분은?[/quote:21ldlbvk]

리눅스 라이브 시디가 보편적인 하드상태에서 부팅하드시 usb 로 만들면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부팅과 사용을 할수 있을꺼로 생각 되네요…

리눅스가 윈도우보다 유연해용…
번외로… Mac OSX 는… intel 과 ppc 를 바꾸어 가면서도 이상없이 부팅 되더군요…
즉 항상 까탈스러운건 MS 윈도우가 아닐까 하네요…

[quote="Mr.Dust":2c40huds][quote="느림보":2c40huds]피시방에 카드 들고가서 카드번호 입력해서
시간 체크 하던데 [/quote:2c40huds]
맞습니다. 거의 모든 프로그램들은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부팅이 되지 아니하면 동작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하시면 양심 유지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ㅎ
[/quote:2c40huds]
가장 어려운녀석이네요… 양심이 녀석을 패스하기가…
(헉 맨날 패스하는걸 어케 알고… 굴럭… :oops: )

[quote="bluetux":2j8os7ge][quote="Mr.Dust":2j8os7ge][quote="느림보":2j8os7ge]피시방에 카드 들고가서 카드번호 입력해서
시간 체크 하던데 [/quote:2j8os7ge]
맞습니다. 거의 모든 프로그램들은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부팅이 되지 아니하면 동작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하시면 양심 유지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ㅎ
[/quote:2j8os7ge]
가장 어려운녀석이네요… 양심이 녀석을 패스하기가…
(헉 맨날 패스하는걸 어케 알고… 굴럭… :oops: )[/quote:2j8os7ge]

가끔 양심이 졸기도 하더라고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