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 답변 감사합니다. 버박의 하드이미지를 USB메모리에 만들고 싶어서 질문한거였습니다.
지금 버박을 설치하고 USB메모리에 가상디스크(가상하드)를 생성하고 있습니다. 근데 속도 느린 MLC 메모리라서 그런지 시간이 엄청걸리네요. 여기에 WinXP까지 설치할려면 각오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제대로 사용할려면 고가의 SLC메모리가 필요한건지… 잠깐씩 사용할건데…
아뭏든 답변 고맙습니다.
흠~ USB메모리에 가상하드를 만드는 도중에 에러가 나더니… 가상하드를 포맷하는 중에도 에러가 나고…
다시 시도하여 겨우 가상하드를 만들고 ntfs 포맷까지는 성공했지만 윈XP 설치를 위한 파일 복사 도중에도 에러가 나면서 더 이상 진행을 못하네요.
결국 USB메모리에 가상디스크(하드이미지)를 만들고 윈XP를 까는 것은 실패했네요. ㅠ.ㅠ
컴의 하드에 윈XP 이미지를 만들어서 USB메모리에 복사하거나…
버박이 아닌 vmware로 시도 해볼까하는…
생각도 들지만 일단은 포기이고 나중에 시간나면 다시 함 해봐야겠네요.
[quote="coreanlibero":12gyqlrg]에러 원인이 뭔지가 중요합니다. 제 경우엔 메모리나 용량 문제가 많았는데요…
위에 적었듯이 전 외장하드를 이용했는데요… 전 하드이미지를 하드에 설치한 후 이미지만 외장하드로 이동한 뒤에 가상머신을 새로 만들어서 사용했었습니다! [/quote:12gyqlrg]
제 리눅스 사용환경이 좀 특이해서… 스왑도 없이 USB메모리에 깔아 사용 중이어서…용량 부족으로 인해…
윈도우 환경에서 컴의 하드에 가상디스크이미지를 생성하고 윈XP를 깐 후… USB메모리로 복사하니 리눅스에서도 그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네요. USB메모리에 가상디스크이미지 뿐만이 아니라 머신도 담을 수가 있고요.
덕분에 성공하였고… 감사합니다. ^.^
가상디스크이미지(VDI)는 리눅스호스트와 윈도우호스트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머신(Machines)은 그렇지 못한 것 같네요. 리눅스에서 만든 Machines는 윈도우호스트의 버박에서 사용 불가입니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
즉 VDI 디렉토리내의 하드디스크이미지는 어느 시스템에서나 사용가능하지만, 머신(스냅샷, 로그 등)은 그렇지 못한 것 같습니다. 머신 디렉토리는 시스템마다 따로 만들어야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