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Player 로 한글윈도우(XP Pro, Home 모두) 돌리려면?

안녕하세요.
우분투 8.04 를 사용중입니다.

윈도우비스타도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고, 바이오스에서 하드디스크 부팅순서를 바꾸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윈도우비스타에 VMWare Workstation 을 사용해서 XP Pro, XP Home 을 설치했습니다. 비스타에서는 잘 돌아갑니다. VMWare Workstation 으로도, VMPlayer 로도 잘 돌아갑니다.

우분투에는 VMPlayer(2.5)를 설치하고, 윈도우에서 생성한 위 두 이미지(XP Pro, XP Home)를 불러왔습니다.
그랬더니 다음과 같은 에러메시지가 나오네요.

File "/home/userid/VM/XP Pro/WinXP Pro.vmx" line 2: Value "8" for variable "config.version" is not valid in encoding "KS_C_5601-1987".

뭔가 한글 관련 문제같은데… 잘 모르겠습니다. 영문 윈도우 이미지는 잘 돌아가는데요.

어떤 해결책이 있을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vmware 가상 머신 설정 파일인 vmx 파일 엔코딩 문제 같으니

엔코딩을 바꿔 보시기 바랍니다. ks 완성형을 utf-8 로,

vi 로 설명 할수 있으니 구글에서 "인코딩 변환" 으로 검색하여
본인이 할수 있는 거로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shock:

답변해주신 강분도님께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대로 vmx 파일의 .encoding 부분을 UTF-8로 고쳤습니다만, 그러고 나니 더욱 이상한 에러메시지가 나타납니다.
(utf-8 로 고친 후에도 윈도우상에서 vmplayer 로는 아무 이상없이 잘 돌아갑니다. 우분투에서 안돌아가니 이상한거죠…)

"File not found: WinXPPro.vmdk
This file is required to power on this virtual machine. If this file was moved, please provide its new location."

이런 후에, 대화상자가 뜨면서 vmdk 파일을 고르라고 나오는데요.
제대로 파일을 찾아서 열어줘도 같은 오류가 계속 발생됩니다.

뭔가가 많이 이상한듯 합니다…

해결책이 있을런지요…?

(고맙습니다!)

해결책은 아니며, 단지 참고만 하시라고 말씀드립니다.

저의 경우, VirtualBox 였나 VMware 였나 기억이 잘 나지 않지만 둘 중의 하나(혹은 둘 다. ^^; )의 이미지가 NTFS 파티션에 있으면 되지 않더군요.

그런데 저의 경우에 뚜렷한 에러메시지가 있는게 아니라 그냥 안되어서(…) 제가 로그를 분석한 결과, 파일시스템 문제로 결론 짓고 ext3 파일시스템 파티션으로 옮기니까 제대로 되었습니다.

혹시나 해서 말씀드려봅니다. :)

[quote="nemonein":m908nl99]
"File not found: WinXPPro.vmdk
This file is required to power on this virtual machine. If this file was moved, please provide its new location."
[/quote:m908nl99]

정확한 이유를 모를때, 무식한 방법이 최고져.
strace (system call trace)를 사용해서, 어떻게 파일을 찾는지 보는 겁니다.
xterm 하나 열고, 다음을 실행합니다

[code:m908nl99]
$ sudo apt-get install strace
$ strace vmware[/code:m908nl99]

이렇게하면, vmware를 기동시킨 터미널에서 vmware를 기동할동안에 커널을 호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게 보여집니다. 이때, WinXPPro.vmdk를 어디서 찾는지 보시고, 에러메세지를 함 올려보세요

[quote="andrwj":89idn43m]정확한 이유를 모를때, 무식한 방법이 최고져.
strace (system call trace)를 사용해서, 어떻게 파일을 찾는지 보는 겁니다.[/quote:89idn43m]
오우, 하나 또 배워갑니다. :)

[quote="pcandme":2l88m0ea]
저의 경우, VirtualBox 였나 VMware 였나 기억이 잘 나지 않지만 둘 중의 하나(혹은 둘 다. ^^; )의 이미지가 NTFS 파티션에 있으면 되지 않더군요.
[/quote:2l88m0ea]
Virtualbox에서 ntfs-3g로 마운트한 NTFS 파티션에 있으면
되긴 되는데 디스크 액세스가 매우 느려집니다.ㅎㅎ
저도 너무 느려서 구글링해보니 나오더군요.

혹시나…참고하시라고 올려봅니다.

답변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NTFS 의 문제는 아닙니다. EXT3 으로 복사해서 해봤는데도 동일한 현상이었으니까요.
더구나 영문 윈도우는 NTFS에 있음에도 별 이상없이 실행되는 걸로 봐서 그 문제는 아닌 것 같구요.

지금은 우분투 상황이 아니라서…
이따가 andrwj 님께서 알려주신 방법을 써보고 결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경과보고(?)를 하겠습니다.

일단, 쉽게 해결은 어려울 듯 하구요.
문제는 이렇습니다.

윈도우에서 설치된 VMware 이미지(VMDK) 파일은 UTF-8 이 아닌 KSC 코드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VMWare 파일은 크게 설정파일인 VMX 파일과 하드디스크 이미지 파일인 VMDK 파일로 되어 있는데요.

이렇게 만들어진 이미지를 우분투에서 돌리려고 하면 인코딩의 문제로 오류가 발생합니다.
처음에 위에서 알려주신 방법은 VMX 파일의 인코딩 부분을 UTF-8 로 바꾸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바꾸면 하드디스크 이미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또 발생합니다.

여기서, 잠시 하드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살펴보면…
하드디스크 이미지 파일에도 인코딩이 설정된 부분이 있습니다. VMDK 파일을 헥스에디터등으로 열어보면, ddb.encoding = 이라는 항목이 있는데요. 이렇게 여기에도 인코딩에 대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이것과 더불어 기타 등등 설정사항이 있는데요.

이런 이유로 VMX 파일에서 설정을 단순히 UTF-8 로 바꿔버리면, VMDK 파일자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경로등의 문제가 아니고, 설정과 실제 파일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인 듯 합니다.

이런 문제가 나타난 것이 제가 처음인지…?
여기 저기 뒤져봐도 방법이 보이지는 않네요.

좀 정리해서, VMWare 측에 문의를 해봐야 할 듯 합니다.

결과가 나오면 여기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