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방금 가입한 Kunggom입니다.
저는 최근까지 리눅스에서 이미지 뷰어로 gwenview를 사용하였으며, 때때로 wine을 사용하여 꿀뷰 3을 뷰어로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왠지 이 뷰어들이 속도도 좀 느리고 한 것 같아서, 며칠 전에 리눅스를 코분투 10.04 32비트 두번째 버전으로 바꾸면서 새로운 이미지 뷰어를 찾아나섰습니다. 하지만 역시 gwenview 말고는 그렇게 마음에 드는 녀석이 없어 고민하던 차에, XnView가 사실은 멀티플랫폼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찾아보니 리눅스용 XnView는 2005년 이후로 개발이 중지되어 있었지만, XnViewMP라는 멀티플랫폼 버전은 지금도 계속하여 개발중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XnViewMP는 apt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아니었습니다. 우분투 리눅스를 알고부터 apt-get install의 편리함에 취해 있었지만, 그 부작용으로 프로그램 수동 설치법은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였습니다. 이에 저는 XnViewMP를 수동으로 설치해 보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먼저, XnViewMP의 최신 버전을 [url:2j38isad]http://newsgroup.xnview.com/viewforum.php?f=60[/url:2j38isad]에서 내려받습니다. 제가 내려받은 버전은 XnViewMP beta 0.26입니다. 리눅스용은 그냥 Linux라고만 되어 있는 것과 Linux (libc6)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 분리되어 있는데 저는 Linux (libc6) 버전을 내려받았습니다. 주소는 [url:2j38isad]http://download.xnview.com/XnViewMP-linux-libc6.tgz[/url:2j38isad]입니다. 그냥 리눅스 버전은 [url:2j38isad]http://download.xnview.com/XnViewMP-linux.tgz[/url:2j38isad]이니, 이것을 내려받고 아래의 내용을 적절히 수정하여 적용하여도 무방하리라 생각합니다. 제 경우에, 내려받은 파일은 ~/Download 디렉터리에다가 저장한 상태입니다.
다음으로, 어느 디렉터리에 이 프로그램을 설치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합니다. 저는 /usr/local/share 디렉터리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터미널을 켜고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code:2j38isad]
cd ~/Download
sudo mv XnViewMP-linux-libc6.tgz /usr/local/share/
cd /usr/local/share/
sudo tar -xf XnViewMP-linux-libc6.tgz
[/code:2j38isad]
이렇게 하고 나니 /usr/local/share 디렉터리에 XnViewMP-026 디렉터리가 생겨났습니다. 디렉터리의 이름을 편한 대로 바꾸고, 원래의 압축파일은 삭제하겠습니다.
[code:2j38isad]
sudo mv XnViewMP-026/ XnViewMP/
sudo rm XnViewMP-linux-libc6.tgz
[/code:2j38isad]
이제 /usr/local/share/XnViewMP 디렉터리 안에 있는 실행스크립트인 xnview.sh 스크립트만 실행하면 XnViewMP를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냥 이렇게 놔두면 일일히 /usr/local/share/XnViewMP/xnview.sh 라고 입력해야만 XnViewMP를 실행시킬 수 있을 겁니다. 그러므로 그냥 명령행에서 xnview라고만 입력해도 실행되도록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가 최초에 생각했던 방법은 /usr/local/bin 디렉터리에 실행 스크립트의 링크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해보시면 알겠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xnview.sh 실행 스크립트의 내용을 들여다 보았습니다. 그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quote:2j38isad][code:2j38isad]
#!/bin/sh
dirname=dirname $0
LD_LIBRARY_PATH=$dirname/lib
export LD_LIBRARY_PATH
QT_PLUGIN_PATH=$dirname/lib
export QT_PLUGIN_PATH
$dirname/xnview "$@"
[/code:2j38isad][/quote:2j38isad]
뭔가 실행과 관련된 것들을 미리 맞춰두고 xnview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xnview를 실행 스크립트를 거치지 않고 바로 실행하면 libQtWebKitXn.so라는 공유 라이브러리가 없다는 오류 메시지만 뜨고 제대로 실행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 실행 스크립트의 내용을 조금 바꾸어서 /usr/local/bin 디렉터리에 갖다두면 어디서나 xnview를 실행시킬 수 있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터미널에서 [code:2j38isad]sudo gedit /usr/local/bin/xnview[/code:2j38isad]라고 입력하고, 위에 있는 실행 스크립트의 내용을 조금 바꾸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입력하였습니다. (실제로는 gedit 대신에 vim을 사용하였지만, vim은 기본적으로 우분투/코분투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아니라서;;
[code:2j38isad]
#!/bin/sh
basedir=/usr/local/share/XnViewMP
LD_LIBRARY_PATH=$basedir/lib
export LD_LIBRARY_PATH
QT_PLUGIN_PATH=$LD_LIBRARY_PATH
export QT_PLUGIN_PATH
$basedir/xnview "$@"
[/code:2j38isad]
위와 같은 내용을 입력한 다음 저장하고, [code:2j38isad]sudo chmod +x /usr/local/bin/xnview[/code:2j38isad] 명령을 내려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었습니다. 이제 명령행 어디서나 [code:2j38isad]xnview[/code:2j38isad]라고만 입력하면 언제든지 xnview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 이것을 보기 좋게 수동으로 [프로그램] 메뉴에다 추가시켜 보았습니다.
화면 상단의 메뉴에서 [시스템]→[기본 설정]→[주 메뉴]로 들어가서, 화면 왼쪽에 있는 메뉴 중 [그래픽]을 선택하고 [새 항목(w)]을 선택합니다. 이름(N)은 편할 대로 짓습니다. 저는 “XnView”라고 지었습니다. 명령어(A)에는 위에서 설정한 대로 [code:2j38isad]xnview[/code:2j38isad]라고 입력합니다. 설명(M)은 입력해도 좋고 안 해도 좋습니다. 왼쪽에 있는 스프링 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 아이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한 /usr/local/share/XnViewMP 디렉터리로 가면 xnview.png라는 파일이 있습니다. 그걸 선택해주면 아이콘까지 설정됩니다.
이제 [프로그램]→[그래픽]으로 가면 방금 막 설정한 XnView를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끝났습니다.
p.s. 으음, 이 곳에는 고수님들이 많으니 제 팁에서 수정할 부분을 지적해 주시리라 생각합니다. 특히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는 확장자 연결이 있습니다. 저는 현재 각 그래픽 파일의 [속성]→[다른 프로그램으로 열기]에서 xnview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확장자를 연결시켰는데, 이미지 파일들을 한번에 왕창 xnview에 연결시킬 수 있는 묘책을 아시는 분이 있으면 보강해주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