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p 부팅 모드는 어떻게 해야 설치해야 하나요?

몇달 전에 우분투 8.04를 설치하여 컴퓨터를 방치하다가 3일 전에 하드디스크를 한개 더 달면서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참고로 하드디스크(160G, 60G, 20G)가 3개입니다.
그래서 XP를 160G에 다시 설치하였으며, 20G에 우분투를 설치하였더니 XP 멀티부팅이 되었습니다. 물론 XP에서도 20G를 인식하였습니다. 이때까지는 아주 좋았습니다만, 네트워크를 잡는 중에 문제가 발생하여 어제 다시 우분투 9.04 Desktop Edition를 깔아더니 이제는 grub 부팅이 되는 겁니다. 그러더니 이번에는 XP에서 20G를 인식하지 못하더군요.

어떻게 해야 XP 멀티부팅이 되나요? XP에 익숙하다 보니 아무래도 XP 멀티부팅이 더 좋을 것 같아서요.
많은 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멀티 부팅이 아니라 파티션 인식을 원하시는것 같군요…
우분투 설치하실때 NTFS 혹은 FAT로 포맷하시면 윈도우에서 인식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우분투 파티션을 NTFS 나 FAT 으로 하면 문제가 생깁니다.

우분투에서는 NTFS 파티션을 마운트하여 읽고 쓸수 있고
XP 에서는 프로그램 설치 하면 우분투 파티션을 읽을 수는 있습니다. [url=http://www.fs-driver.org/index.html:3e0547a8]Ext2 IFS for Windows[/url:3e0547a8]

아마 처음 설치시 보인건 wubi 이용 설치 였을 것 같습니다.
굳이 XP 에서 우부투 파티션을 보려 위 어플을 설치 할필요는 없습니다 불안하다 들었습니다.

파일 복사가 읽기 등이 필요 하다면 우분투에서 NTFS 사용이 간편 하니 우분투에서 작업 하시기 바랍니다.

애초에 우분투가 깔리는 파티션으로는 FAT나 NTFS를 사용할수가 없을겁니다. 제 기억으로는 인스톨하면서 그것들이 회색으로 막혀버렸던거 같습니다.

그리고 우분투에 깔리는 내용치고 윈도우즈에서도 봐야 하는건 그야말로 극소수의 파일들이죠. 그러니 그냥 별도의 데이터 파티션을 FAT나 NTFS로 두고 우분투와 윈도우즈에서 돌아가면서 같이 사용하는게 나을듯 싶습니다. 리눅스에서는 심볼릭 링크나 mount명령어를 사용해서 우분투에서도 마치 /home안에 있는것처럼 처리해 줄 수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