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폭스와 크롬 중 어느 브라우저를 쓰시나요?

기본 탑재된 파이어폭스 쓰다가 크롬 깔아보니 더 빠릿하네요…

제가 확장기능으로 xmarks와 dolphin connect를 추가하여 pc들과 모바일 기기 즐겨찾기를 동기화를 해서 쓰는데요.
예전에 크롬과 파이어폭스를 혼용하여 쓰니 즐겨찾기가 꼬여서 난리가 났던(즐겨찾기가 자가복제되어 뒤에 숫자가 붙어 두배 세배로 늘어남, 북마크 사라짐 등…) 기억에 둘 중 하나만 써야겠는데, 고민되네요.

제대로 지원되는 파이어폭스냐… 빠릿한 크롬이냐…

저는 둘다 씁니다.
파이어폭스가 속도도 빠르고, 다양한 확장기능 지원으로 애용중이었는데 알수없는 버그가 있어서 크롬으로 갈아탔습니다. 크롬에서 나름 파이어폭스 처럼 꾸미려고 해봤지만, 어렵네요… 파이어폭스는 마치 브라우져계의 아이폰, 아이팟, 아이패드 같은 느낌이라… 완전히 옮기는건 안되네요.
그래서, 필요할때 마다 파이어폭스를 겸용으로 사용합니다.
심플함과 속도에선 크롬이 최고인것 같습니다. 파이어폭스는 다양함이 장점이구요.
어느 하나도 버릴수 없어요 ㅜㅜ

저도 둘 다 씁니다.(특히나 직업상의 이유로 그래야만 하죠.)

근데, 써보니까, 제가 탭을 왕창 열어놓는 편이라, 그런 면에서의 안정성이 파폭이 나아보이더군요.(MS윈도버전)
우분투로는 파폭을 주로 씁니다만, 그땐 탭을 많이 열어놓지 않는 편이라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허허

세가지 사용합니다만(크롬, 파폭, 오페라)
크롬이 거의 메인입니다.

허나 모바일에서는 오페라 사용 중!ㅎㅎ

파이어폭스의 부가기능을 처음 접한 그 순간.

엄청난 충격과 감동에 다른 어떠한 브라우저에게도 눈길을 주지않았습니다.

크롬을 메인으로 쓰고 있습니다.
파폭은 보조이구요.
웹 코딩을 하다보니 다 써야 하네요.

다만 전엔 느리고 메모리 누수가 심해서 파폭에서 크롬으로 전향한거였는데
요즘은 파폭도 빨라지고, 메모리 누수는 크롬이 더 하군요. ㅋ

안드로이드용 앱은 둘 다 문제가 많지만,
일단 크롬이 좀더 편해서 크롬을 쓰고 있습니다.

크롬을 쓰고있습니다. 원래는 파폭을 쓰고있었는데 ATI그래픽 드라이버와의 문제가 있어서 그때 한번 크롬으로 넘어온 뒤론 다시 돌아오질 못했네요.

세간에서는 크롬이 메모리 먹는 괴물이다라고 해서 많이 까이긴하는데 요즘 메모리야 웬만해선 잘 갖춰져있으니 불편함이 없고 그것보다는 강력한 동기화 기능과 주소창에서 바로 검색엔진 검색이 가능하다는 매력에서 빠져 나올 수가 없네요. 그렇게쓰다보니 검색창이 따로 구분돼있는 타브라우저의 UI가 못마땅해(?)보이기까지 하구요.ㅎㅎ

[quote="interoasis":3f1m3pha]주소창에서 바로 검색엔진 검색이 가능하다는 매력에서 빠져 나올 수가 없네요. 그렇게쓰다보니 검색창이 따로 구분돼있는 타브라우저의 UI가 못마땅해(?)보이기까지 하구요.ㅎㅎ[/quote:3f1m3pha]
==> 이건 옴니바를 설치하면 그냥 해결되죠.

머 저도 주로 크롬을 사용합니다.

크롬이 메모리및 CPU자원을 많이 먹고, 메모리릭도 있지만…
그만큼 속도에서 장점이 있고, 아무래도 플래시에서 유리하다보니 ^^

저는 순정파 ! 그냥 주는 대로 써요.
우분투에 파이어폭스가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기에 파이어폭스를 쓰고 있어요.

파이어폭스를 사용합니다.

웹에 자유를 주기위해 무던히도 노력한 브라우저인지라 왠지 크롬으로 갈아타고 싶지 않네요.
동기화 기능, 주소창을 통한 검색 등 모두 파이어폭스도 잘 됩니다.

크롬이 땡기는 경우도 많지만… 좋은 경쟁상대를 만나서인지 크롬의 좋은 점을 파이어폭스도 잘 따라잡고 있는 것 같습니다.

ㅎㅎ 물론 확장기능으로 커버가 되는 부분이긴하겠지만… 그걸 일일이 찾는수고도 그렇고 이미 쓰던거라 넘어가기 힘든게 가장 큰것 같아요.

최근에 파폭으로 갈아탔습니다. 인터넷에서 많은 사람들이 속도니 메모리니 뭐니들 하시지만, 그냥 평상시 웹서핑 하는 정도로는 별 차이 없더군요. 메모리 많이 차면 프로세스 죽였다가 다시 실행하면 되는거고…

일단 크롬은, 구글에게 내 자신이 종속되는게 너무 싫었구요, 쓰다보니 점점 구글에서는 내가 누구이며 뭐하는 사람인지 분석도 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지메일에서도 벗어나긴 했는데 이제 웹브라우저도 벗어나려고 합니다.

사파리는 좋긴 한데, 맥 이외에서는 즐겨찾기 동기화 때문에 곤란해서 잘 안씁니다.

위 세개의 브라우저 이외는 전혀 관심이… ㅎㅎ

크롬 쓰다가 구글이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이후로는 안씁니다.

메인 브라우저로 크롬을 씁니다.

파폭의 장점이 확장성이었는데 이젠 그렇지도 않더군요. 업데이트를 해서 최신버전으로 유지시켜 놓을수록 지원되는 부가기능이 거의 없다시피 하니 쓸 수가 없습니다.
당장 툴팁사전만 해도 파폭에는 쓸 수 있는게 없으니…

그렇다고 구글에 종속되는게 썩 달갑지도 않지만 대안이 없네요.

뒤늦게 와보니 댓글이 많이 달렸네요. 답글 감사합니다.

전 일단은 확장기능 때문에 파이어폭스를 메인으로 계속 쓸 것 같네요. 파폭이 확장기능 자체가 많기도 하지만, 같은 확장기능이라도 내부 기능이 더 많은 경우도 있더라구요.

익스의 액티브액스가 싫은 저로서는 짱짱한 대체 브라우저가 두 개나 되어서 정말 유용합니다!

구글의 독도표기 문제도 빨리 해결되었으면 좋겠네요.

저는 크로미움을 쓰고 있습니다. 같은거겠지요? 우분투용 크롬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하려니 오류나서 어플리케이션센터에 크로미움이 있어서 설치해서 쓰고 있습니다. 사용하는 느낌은 크롬이나 크로미움이나 같은거 같습니다.

크로미움을 쓰는 이유는 다들 아시겠지만 확장어플리케이션들을 쓰기때문입니다. 그중 제일 많이 쓰는게 구글드라이브입니다. 문서 및 스프레드시트 등은 구글 드라이브에서 만들어서 쓰고 있습니다.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해서 너무 좋아요. 회사의 Windows OS에서 문서를 만들고, 집의 Mac OS에서 다듬고… 태블릿으로 활용하고 있어요. 그래서 크로미움을 씁니다. 걍 편해서요.

@klavis
저와 같은 오류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libudev0와 관련된 오류라면 소프트웨어센터에서 libudev0를 검색하여 설치하시면 (Udev Library - libudev0) 구글에서 제공한 리눅스용 deb파일이 오류없이 설치 됩니다.

또는 아래 주소를 참고하셔서 libudev0 deb 파일을 직접 설치하는 방법도 있겠네요.

[url:37qarmeb]http://www.webupd8.org/2013/04/fix-google-chrome-cant-be-installed-in.html[/url:37qarmeb]

크롬도 매우 좋은 브라우저고… 구글의 서비스도 좋아하지만, 불여우 쓰는중입니다.
위분도 말씀하셨지만 같은 애드온이래도 불여우가 내부기능이 더 좋은 경우가 많거든요 제가쓰는건 전부 그렇고요.
게다가 프로필이라던가, 개인정보보호, 각종 컨텐츠다운로드등…도 더 뛰어나고
근데, 우분투 13.10 에서 크로미움이 기본브라우저가 될거도 같다는 루머(?)가 도는것같던데, 뭐 어찌될지는 모르겠습니다.
갠적으로는 불어우로 계속 갔으면 하지만…-.- 그런데 참 구글계정이 없으면 제대로 활용하기 힘든 브라우저를 기본으로 넣다니요 우분투 답지 않아요.
뭐 요새들어 이런게 한둘이 아니라…차라리 이게 우분투 다운거다 그래도 또 그럴민하지만 …

저도 주로 크로미엄을 사용합니다.

속도가 크롬계열이 확실히 더 빠르더군요.
이점에 대해서 추측되는건 쓰레드 방식이 아닌, 프로세스방식이라
페이지간 간섭이 덜한 측면과, 캐시를 사용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는듯해요.
특히 웹게임 해보면, 크롬과 파폭의 차이가 엄청나게 나거든요.

물론 이것은 단점으로도 작용합니다.
프로세스방식이라 메모리와 씨퓨자원을 많이 먹죠
이로 인해 심할땐 스와핑이 일어나면서 무지 느려지거나, 페이지가 크래쉬 되기도 하죠.

그리고, 또 하나의 장점은 내장플래시 지원입니다.
PepperFlash를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이것은 명령줄옵션에서 확인해실 수 있구요…

전체적으로,
크롬이 파폭에 비해
기능성및 효율성(자원소모)등이 떨어지지만…
속도에서의 우위때문에 서는 크롬을 주로 사용하게 되네요.

^^